Leo's Story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무자본 창업의 필승공식 본문
무자본 창업의 성공 비결과 효과적인 전략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개념들이 있지만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게요.

창업의 진짜 비결: 가설과 검증
많은 분들이 창업을 위해 독특한 아이디어나 혁신적인 아이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죠. 하지만 실제로 성공적인 창업의 비결은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바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는 과정'에 있어요.
이게 무슨 말이냐고요? 쉽게 말해, 여러분이 생각한 사업 아이디어가 실제로 통할지 작은 규모로 시험해보는 거예요. 예를 들어, 동네 카페를 열고 싶다면 먼저 친구들을 대상으로 커피를 만들어 팔아보는 거죠. 이런 과정을 통해 실제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어요. 바로 "통제변인" 이라는 것이에요.
즉, 가설에 대해서 검증을 할때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정을 해야 한다는 것이죠.
가령, 컨설팅에 대해서 사업을 기획한다고 한다면, 컨설팅 본질에 대해서만 검증을 해야하는데,
이때 컨설턴트의 외모나 태도가 결과에 영향을 끼치면 안된다는 것이에요.

패스트 팔로워 전략: 안전하게 시작하는 방법
처음부터 완전히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건 위험할 수 있어요. 대신 '패스트 팔로워' 전략을 써보는 건 어떨까요?
이건 이미 성공한 사업 모델을 빠르게 따라하되, 조금씩 개선하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유명 프랜차이즈 카페를 그대로 따라하진 않지만, 그들의 성공 요소를 분석해 자신만의 특색을 더한 카페를 여는 거죠.
이렇게 하면 이미 검증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실패 위험을 줄일 수 있어요.
또한, 기존에 있는 아이템을 벤치마킹해서 타겟을 좁혀나가는 방식은 퍼스트 무버의 시행착오에 들어가는 비용과 자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창업자들에게는 좋은 전략이라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경쟁 우위를 가저가기 힘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할 수 있는데요.
어차피 시장에 100% 독점은 있을수 없습니다. 또한 벤치마킹을 하되 어느정도 차별화 전략은 필요합니다.
즉, 타겟을 좀 더 좁히고 그 타겟에 대해서는 더 높은 퀄리티의 제품과 서비스를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 후에 타겟과 서비스를 넓혀 가게 된다면 초기 창업자들에게는 좋은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 시작: 나의 재능과 지식 팔기
처음부터 큰 사업을 시작하는건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재능과 지식을 판매하는것부터 시작해 봅시다.
예를 들어, 요리를 잘하신다면 요리 강습을 할 수 있고, 디자인을 잘하신다면 로고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초기 투자 비용도 거의 들지 않고, 실패하더라도 잃을 게 거의 없죠. 게다가 이 과정에서 사업 운영 경험도 쌓을 수 있어 일석이조랍니다.
심지어 재능과 지식을 판매하는 일은 자신의 구현기술(역량)을 좀더 고도화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고, 콘텐츠 화를 통해서 잗종수익을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Bottom-up과 Top-down 접근방식
창업을 준비할 때 두가지 주요 접근 방식
Bottom-up 접근 방식은 세부에서 전체로 나아가는 방법으로, 작은 부분에서 시작해서 큰 그림으로 그려나가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특정 문제점을 발견했다고 해봅시다. 동네에 반려동물과 함께 갈 수 있는 카페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동물 동반 카페를 열기로 결정하고, 점차 사업 계획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Bottom-up 접근입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현실적인 문제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고객의 needs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Top-down 접근 방식은 전체에서 세부로 나아가는 방법입니다. 큰 그림을 먼저 그리고 세부사항을 채워나가는 거죠.
예를 들어, 카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는 전체적인 트렌드를 파악한 후, 그 안에서 특별한 컨셉의 카페를 열기로 결정하는 것이 Top-down 접근입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많은 성공적인 창업자들은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합니다. Top-down 방식으로 전체적인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Bottom-up 방식으로 구체적인 고객의 needs를 충족시키는 것이죠.
예를 들어, 카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Top-down), 동시에 반려동물과 함께 갈 수 있는 카페가 부족하다는 구체적인 문제를 발견해(Bottom-up) 반려동물 동반 카페를 열기로 결정하는 것입니다.

'사업개발캠프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경제적 자유와 불행 (3) | 2024.10.04 |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돈 안 들이고 보도자료 작성법 (3) | 2024.10.02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카피라이팅 기술 (1) | 2024.10.02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스토리텔링의 중요성 (10) | 2024.09.30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무자본 창업의 성공 공식 (2)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