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eo's Story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실패한 스타트업/창업 사례 본문
반응형
회사명 | 회사 소개 | 문제 분석 |
홈클 (2012~2016) |
가사도우미 플랫폼 비즈니스. 500여 명의 가사도우미가 활동할 정도로 성장. O2O 서비스로 가사도우미와 고객을 연결해주는 중개 플랫폼으로 운영됨. |
1. 수익화 실패: 투자 유치 실패로 자금난 겪음. 주문 수는 늘었지만 수익 구조가 취약했음. 2. 법률 문제: 가사도우미 임금을 중개업자가 지급할 수 없는 법적 제약. 직접 채용은 자금 부담이 컸음. 3. 사업가 마인드 부족: 서비스에 대한 사명감 부족으로 의지 상실. 4. 운영 비효율: 고객 기대치와 서비스 품질 간 격차로 인한 지속적인 구인, 교육, 투입 과정 반복. |
마이돌 (2013~2018) |
엔터테인먼트 관련 서비스 제공. 누적 다운로드 수 1400만 건을 기록한 K-pop 팬 커뮤니티 앱. | 1. 시장 성장 속도 오판: 기대와 다른 시장 성장 속도. 당시 엔터 시장의 성장이 현재보다 더뎠음. 2. 비즈니스 모델 발굴 실패: 대규모 이용자를 수익으로 연결시키지 못함. 결국 앱 내 광고만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었음. 3. 복잡한 지분 구조: 지분 문제 해결에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비즈니스에 집중하지 못함. |
타운어스 | 대학을 중심으로 맞춤형 단체복을 판매하는 공동구매 플랫폼. | 1. 코로나19 영향: 단체활동 감소로 수요가 크게 줄어듦. 2. 해외 시장 진출 실패: 중국 시장 진출 시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
물류센터 감시 서비스 | AI를 활용한 물류센터 내부 감시 서비스 제공. | 1. 전문성 부족: 창업자의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과 관심 부족. 2. 현장 경험 부재: 실제 현장 경험 없이 서비스를 개발함. |
스토리팝 | 스마트폰으로 소설을 읽고 쓸 수 있는 플랫폼. | 1. 타겟 시장 미스: 젊은 세대의 호응을 얻지 못함. 2. 콘텐츠 전략 실패: 사용자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함. |
이승건의 초기 창업 | 토스 이전 8번의 창업 시도. | 1. 시장 분석 실패: 예상치 못한 대형 경쟁자의 출현. 2. 제품-시장 부적합: 공급자 관점의 제품 출시로 시장 수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함. |
이수진의 샐러드 배달 회사 | 2000년대 초 운영한 샐러드 배달 서비스. | 1. 주력 아이템 이해 부족: 샐러드 시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부족. 2. 창업 경험 미비: 초기 창업자로서의 경험 부족. |
Juicero | 고가의 주스 제조기를 판매하는 스타트업. | 1. 과도한 가격: 제품 가격이 너무 높아 소비자 접근성이 떨어짐. 2. 불필요한 복잡성: 손으로도 쉽게 주스를 짤 수 있다는 것이 밝혀져 제품의 존재 이유가 사라짐. |
Quibi | 짧은 형식의 모바일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 1. 콘텐츠 부족: 충분한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지 못함. 2. 시장 수요 예측 실패: 모바일 전용 짧은 영상에 대한 수요를 과대평가함. 3. 경쟁력 부족: 기존 스트리밍 서비스들과의 경쟁에서 밀림. |
Theranos | 혁신적인 혈액 검사 기술을 표방한 헬스케어 스타트업. | 1. 기술의 허위성: 주장한 기술이 실제로 작동하지 않음이 밝혀짐. 2. 윤리적 문제: 투자자와 파트너사에 대한 기만. 3. 규제 대응 실패: 의료 분야의 엄격한 규제를 준수하지 못함. |
홈클
법적 규제와 수익 구조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도 법적 제약과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이돌
시장 성장 속도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비즈니스 모델의 다각화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복잡한 지분 구조가 비즈니스 운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타운어스
외부 환경 변화(코로나19)에 대한 대응 능력과 해외 시장 진출 시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물류센터 감시 서비스
창업자의 전문성과 실제 현장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이디어만으로는 부족하며, 해당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토리팝
타겟 시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지속적인 사용자 관심을 유지할 수 있는 콘텐츠 전략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승건의 초기 창업
시장 분석과 제품-시장 적합성(Product-Market Fit)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실패를 통해 배우고 계속 도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수진의 샐러드 배달 회사
주력 아이템에 대한 깊은 이해와 창업 경험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초기 창업자들에게 경험과 학습의 가치를 강조한다.
Juicero
제품의 실용성과 가격 책정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혁신적인 기술도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지 못하면 실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Quibi
시장 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경쟁 환경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충분한 콘텐츠 확보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Theranos
기술의 실현 가능성과 윤리적 경영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규제가 엄격한 산업에서의 compliance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반응형
'사업개발캠프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경제적 자유와 불행 (3) | 2024.10.04 |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돈 안 들이고 보도자료 작성법 (3) | 2024.10.02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카피라이팅 기술 (1) | 2024.10.02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스토리텔링의 중요성 (10) | 2024.09.30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 무자본 창업의 필승공식 (9) | 2024.09.27 |
Comments